
방송에서 어떠한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면 다른 방송사에서도 너도나도 비슷한 포맷으로 만드는 경우를 보셨을 텐데요. 한 예로 'MBC 나는 가수다'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자 그것과 관련된 프로그램들이 마구마구 나왔죠. 이러한 상황에 쓰이는 사자성어가 바로 우후죽순인데요. 그래서 우후죽순 뜻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우후죽순 뜻 우후죽순 뜻은 비온 뒤에 "대나무 죽순"들이 막 올라온다는 뜻입니다. 실제로 대나무 죽순은 비가 온 뒤에 엄청 빠르게 자라나기로 유명한데요. 각 글자를 살펴보면 비 우(雨), 뒤 후(後), 대나무 죽(竹), 죽순 순(筍)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글자만 놓고 봤을 때 해석을 하는데 크게 지장은 없습니다. 이렇게 우후죽순은 대나무 죽순이 빠르게 올라오는 상황을 빗대어서 실생..

어떠한 물건 또는 자연과 하나가 된 듯한 느낌을 줄 때 '물아일체'가 됐다고 하는데요. 이는 어떠한 일에 대해 엄청난 몰입을 할 때도 쓰이고 있습니다. 흔히 사용되는 사자성어인 만큼 물아일체 뜻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물아일체 뜻 물아일체 뜻은 “자연과 내가 하나가 된다” 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요. 또는 어떠한 대상에 완전히 몰입된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고전 작품에서는 아무래도 자연에 빗대어 많이 사용됐지만, 요즘은 무엇인가에 엄청 집중을 할 때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정신수양과 관련된 곳에서 많이 쓰였다면, 요즘은 공부나 게임 등 집중을 하는 곳에서 다방면으로 사용 되고 있습니다. 각 글자를 살펴보면 만물 물(物), 나 아(我), 한 일(一), 몸 체(體)로 이..

요즘같이 각박한 세상에서는 문화를 즐긴다는 것이 어려운 것 같습니다. 예전보다 배고프지 않고, 잘 먹는다고는 하지만 그것과는 다른 어려움들이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이러한 환경 속에서 스트레스도 풀고 재밌는 것도 구경하면서 보내야 하지 않을까요? 그래서 오늘은 문화의 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더 나아가 문화의 날에 어떤 혜택들이 있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1. 문화의 날이란? 한국의 문화예술 발전과 방송, 잡지, 영화 같은 매체들의 사회적 가치를 새롭게 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그리하여 1973년에 매년 10월 20일을 문화의 날로 지정하였죠. 그러나 2006년부터는 10월 셋째 주 토요일로 바뀌면서 매해 날짜가 다릅니다. 그렇다면 왜 처음에는 10월 20일 이었을까요? 딱히 큰 의미가 있기..